상수, 기호 상수

2022. 2. 10. 00:00IoT Embeded 강의

#상수와 기호 상수

상수란 변하지 않는 일정한 값입니다. 컴퓨터에서도 이러한 상수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의 둘레, 넓이를 구하는 코드를 작성할 때 매번 3.141592를 입력하기는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PI = 3.141592 로 대입을 한 뒤 원주율을 사용할 때는 PI를 변수처럼 사용합니다. 이때 'PI'를 '기호상수' 라고 합니다. 

 

기호 상수의 정의 방법은 #define 과 const 두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define 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정의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으며 선언 위치는 전처리기 부분입니다. 

 

#define 기호상수이름 상수값 

위의 예시에서 PI 는 이제 항상 3.141592 라는 값을 가지게 됩니다. 원의 넓이를 구할 때 이제 PI만 입력해주면 원주율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호 상수의 이름(식별자) 대부분의 식별자 규칙을 따르는데 관행적으로 대문자로 씁니다. 기호 상수 이름 뒤에 상수값을 입력해줍니다. 각 위치마다 공백으로 칸을 구분해줍니다. 여기서는 마지막에 세미콜론이 붙지 않습니다. 

 

다음으로 const 로 정의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정의 형식은 다음과 같으며 선언 위치는 프로그램 내 어디든 위치할 수 있습니다. 

 

const 자료형 기호상수이름 = 상수값;

#define 과 차이점은 대입연산자를 쓰면서 마지막에 세미콜론을 붙인다는 것입니다. 

 

기호 상수 외에 프로그램에서 변수에 값을 입력할 때 수를 쓸 것입니다. 예를 들어 x에 2.1458을 대입한다고 했을 때 2.1458은 그냥 상수입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이런 실수형 상수는 double 자료형으로 취급됩니다. 

2.1458의 데이터 크기를 측정하면 '8'이 나옵니다. 때문에 캐스트 연산자나 데이터 타입변환에서 이를 기억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IoT Embeded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생성과 기본 소스 코드 작성  (0) 2022.02.10
제어문자  (0) 2022.02.10
표준 입출력 함수 (콘솔)  (0) 2022.02.09
서식문자  (0) 2022.02.09
C언어 기본 구조와 통합개발환경(IDE)  (0) 202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