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10. 10:51ㆍIoT Embeded 강의
#증감 연산자
코딩을 하다보면 원래 변수에 다른 변수나 값을 더해서 다시 원래 변수에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변수 x 에 1을 더하여 다시 변수x에 저장하려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x = x + 1;
대입연산자에 의해 오른쪽에 계산된 값이 새롭게 다시 x에 저장됩니다. 이를 산술연산자와 대입연산자를 결합하여 사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 += 1;
이번에는 증감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해보겠습니다.
x++;
위의 세 가지 모두 x에 1을 더하여 그 값을 다시 x에 저장하라는 의미입니다. 세번째 표현을 '증감연산자' 라고 합니다. 증감연산자는 x+y 처럼 덧셈을 하기 위해 x,y 두 개의 변수가 필요한 것과는 다르게 변수x 1개로 작성하는 단항연산자입니다. 증감연산자는 연산자의 위치에 따라 작동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
1.전위형
전위형은 연산자가 앞에 붙은 경우입니다.
x = 1;
y = ++x;
x에는 1이 대입되어 있고 y에 증감연산자를 적용한 x의 값을 대입합니다. 전위형인 ++x 는 먼저 x에 1을 더한 뒤에 그 값을 y에 대입합니다. 즉, 연산이 먼저 진행된 뒤에 값이 참조가 됩니다. x = 2, y = 2 가 됩니다.
2.후위형
x = 1;
y = x++;
후위형은 전위형과 반대로 먼저 있던 x값이 참조된 뒤에 x에 1을 더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x = 1, y= 2 가됩니다. 이러한 수식외에도 printf함수에서 변수를 입력하는 부분에 전위형, 후위형에 따라 출력되는 값을 다르게 할 수 있습니다.
int x =2;
printf("%d" , ++x); // 3 출력. 이후에 x=3
printf("%d" , x++); // 2 출력. 이후에 x=3
'IoT Embeded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과 문자열 (0) | 2022.02.14 |
---|---|
1차원 배열 (0) | 2022.02.14 |
프로젝트 생성과 기본 소스 코드 작성 (0) | 2022.02.10 |
제어문자 (0) | 2022.02.10 |
상수, 기호 상수 (0) | 2022.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