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Embeded 강의(22)
-
1차원 배열
#배열 변수 선언을 하면 메모리 안에는 자료형에 맞게 메모리 공간이 잡히게 됩니다(메모리 할당). int a;라고 선언하면 메모리 안에는 a라는 이름을 가진 4byte의 메모리 공간이 지정되고 이제 여기에 데이터들을 넣을 수 있게 됩니다. 변수 여러개를 다뤄야 한다면 변수를 여러번 선언해도 되지만 배열을 이용해 한번에 메모리 공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배열에 5개의 정수를 담고 싶다면 메모리는 4byte x 5 인 20byte의 메모리 공간을 할당할 수 있으며 배열에 번호를 매겨 5개의 공간에 각각 데이터를 담을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배열은 메모리의 연속된 공간에 동일한 데이터 타입의 변수가 정해진 개수만큼 연속해 있는것입니다. 배열의 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int array [5] = {1..
2022.02.14 -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 코딩을 하다보면 원래 변수에 다른 변수나 값을 더해서 다시 원래 변수에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변수 x 에 1을 더하여 다시 변수x에 저장하려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x = x + 1; 대입연산자에 의해 오른쪽에 계산된 값이 새롭게 다시 x에 저장됩니다. 이를 산술연산자와 대입연산자를 결합하여 사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 += 1; 이번에는 증감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해보겠습니다. x++; 위의 세 가지 모두 x에 1을 더하여 그 값을 다시 x에 저장하라는 의미입니다. 세번째 표현을 '증감연산자' 라고 합니다. 증감연산자는 x+y 처럼 덧셈을 하기 위해 x,y 두 개의 변수가 필요한 것과는 다르게 변수x 1개로 작성하는 단항연산자입니다. 증감연산자는 연산자의 위..
2022.02.10 -
프로젝트 생성과 기본 소스 코드 작성
#간단한 C언어 프로젝트 생성 및 소스코드 작성 C언어를 공부하기 위해 Visual studio 2022를 설치하셨다면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한 뒤 소스코드를 작성하는 가장 기초적인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처음보는 IDE에 막막한 심정이 들지만 다음 과정을 따라해보고 반복하면서 직접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고 심화된 내용을 배워나가며 발전해 나갈 수 있습니다. 1.Visual studio 2022를 실행한 뒤 '새 프로젝트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2. '빈 프로젝트' 를 선택합니다. 3.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하고 하단부에 '솔루션 및 프로젝트를 같은 디렉터리에 배치'를 체크한 뒤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4. 여기까지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했습니다. 아래 화면을 보면 모르는 말들과 탐색기들이 나와 있어 당..
2022.02.10 -
제어문자
#제어문자 (기호출력) printf 함수를 쓰면서 띄어 쓰기는 스페이스바로 편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줄바꿈이나 탭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어문자(또는 기호출력)를 사용해야 합니다. 또 "", '' 는 printf 함수 내에서 단순 문자가 아닌 문법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이기때문에 이를 단순하게 문자로 출력하기 위해서도 제어문자를 써야합니다. 제어문자는 \로 시작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호 출력 \n 줄 바꿈 기능 \t Tab 기능 \\ \ \' ' \" " %% %
2022.02.10 -
상수, 기호 상수
#상수와 기호 상수 상수란 변하지 않는 일정한 값입니다. 컴퓨터에서도 이러한 상수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의 둘레, 넓이를 구하는 코드를 작성할 때 매번 3.141592를 입력하기는 번거롭습니다. 그래서 PI = 3.141592 로 대입을 한 뒤 원주율을 사용할 때는 PI를 변수처럼 사용합니다. 이때 'PI'를 '기호상수' 라고 합니다. 기호 상수의 정의 방법은 #define 과 const 두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define 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정의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으며 선언 위치는 전처리기 부분입니다. #define 기호상수이름 상수값 위의 예시에서 PI 는 이제 항상 3.141592 라는 값을 가지게 됩니다. 원의 넓이를 구할 때 이제 PI만 입력해주면 원주율로 사용할..
2022.02.10 -
표준 입출력 함수 (콘솔)
#표준입출력 함수 표준입출력 함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거나 프로그램 결과를 화면에 출력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매번 사용하는 stdio.h 에 정의가 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출력 함수인 printf()와 입력 함수인scanf(), scanf_s()가 있습니다. 각 함수의 형식과 사용 예시를 정리하겠습니다. 1.printf() 자주 사용하는 출력함수입니다.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rintf("문자열 ,형식시정자,제어문자", 변수); 먼저 큰 따옴표 안에는 우리가 출력하고 싶은 문자열을 그대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흔히 아는 Hello world 출력을 할 때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함수의 끝에는 항상 세미콜론을 넣어줘서 끝났다는 표시를 해줍니다. printf("Hello world"); 여기서..
2022.02.09